도파미의 배신
저자: 강웅구, 박선영, 안유석 지음
출판사: 포르체
중독: 자본주의 사회와 개인의 자율성
중독성 약물, 도박, 인터넷 게임 등은 강한 자극과 즉각적인 보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인기를 끈다. 이러한 요소들은 높은 현저성을 가지며, 우리의 주의를 쉽게 끌어들인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문화적 아이템들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선택받기 위해 경쟁하며, 자극적인 것들이 살아남는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모든 문화적 아이템이 시장에서 상품으로 등장하며, 기업들은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상품의 중독성을 강화한다.
술과 담배, 복권, 경마, 카지노 등은 합법적인 기업이 운영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대마도 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기업들은 소비자를 중독시킴으로써 이윤을 창출하며, 이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시스템 전체와 밀접하게 연결된 문제다. 따라서 중독 문제를 사회와 격리시켜 해결하려는 시도는 타당하지 않으며, 전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정치인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포퓰리즘적 정책은 사회 전반의 중독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국회는 누구도 손해 보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개인의 접근방식도 중요하다. 중독은 생존에 필수적이지 않은 즐거움이 우리를 지배하는 현상으로, 인류 진화 과정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요소다. 따라서 우리의 유전자에는 이러한 욕구를 조절하는 행동 양식이 없으며, 중독에 빠지면 벗어나기 어려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중독은 질병이다. 이는 욕구 추구가 욕구 조절보다 강할 때 발생하며, 자율성을 제한한다. 일반적인 질병은 신체나 정신의 손상으로 인해 자율성이 제한되지만, 중독은 자율성의 손상 자체가 질병의 본질이다. 중독 상태는 약물이 의지력을 가스라이팅하는 상태와 같으며, 이는 마치 노예가 자유를 잃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초래한다.
중독을 극복한 사례
김 씨(가명)는 스포츠 도박에 중독되어 수천만 원의 빚을 지고 가족 및 직장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그는 더 이상 버틸 수 없다고 판단해 중독 치료 센터를 찾았고, 인지행동치료와 상담을 병행했다. 도박을 유발하는 환경을 차단하고,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과 자조 모임을 만들며 서서히 회복했다. 그는 중독을 혼자 해결하려 하지 않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은 것이 가장 큰 전환점이었다.
중독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제안
- 중독 유발 산업에 대한 규제 강화
- 도박, 게임, 담배, 술 등의 광고 제한 강화
- 중독성을 의도적으로 조장하는 기업에 대한 벌금 및 세금 부과
- 청소년 및 청년층 대상 예방 교육 의무화
- 국가 차원의 중독 치료 지원 확대
- 정신 건강 치료에 대한 보험 적용 확대
- 중독 치료 전문 병원 및 센터 확충
- 소득별 차등 치료비 지원 프로그램 운영
- 개인의 중독 예방 및 회복 지원
- 무료 중독 상담 서비스 운영(온라인·전화·대면)
- 중독자와 가족을 위한 자조 모임 활성화
- 사회복귀 프로그램 운영(일자리 지원, 심리 치료 병행)
중독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단순한 개인적 의지로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중독은 사회 전체와 연결된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규제와 함께 개인의 적극적인 치료 및 예방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독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순속에 삶의 진실이..... (69) | 2025.04.05 |
---|---|
미세먼지와 고정관념에 대한 성찰 (44) | 2025.04.04 |
어둠이 램프를 만들어 내었듯이........ (82) | 2025.04.03 |
'기다림' 이라는 선물 (88) | 2025.04.01 |
아주작은 습관의 힘 (5)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