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노트70

욕망은 우리를 창조한다 프랑스 대학시험 '바칼로레아'의 철학시험 출제 문제에 대해 생각하며 정리 해 봤습니다.도입부: 플라톤, 헤겔, 스피노자가 만난다면 (상상 대화시리즈 64)파리의 한 카페, 현대의 시간 속에서 세 명의 위대한 철학자가 마주 앉았다. 플라톤은 진지한 눈빛으로 물었다.“욕망이란 결국 결핍에서 비롯된 것 아닌가요? 인간이 완전하다면, 더 이상 바랄 것도 없겠지요. 신은 욕망하지 않습니다. 인간만이 부족함을 느끼고, 그 부족함이 우리를 움직이게 합니다.” 헤겔이 미소를 지으며 맞장구쳤다.“맞습니다, 플라톤 선생. 하지만 욕망은 단순히 결핍의 표현이 아닙니다. 욕망은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과정, 즉 의식의 성장입니다. 우리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더 나은 존재로 변화하려 합니다.” 스.. 2025. 7. 5.
사상의 시장 도서 '필로소피 랩' X. 정치와경제. P.296-297.엥겔스 '사상의 시장' 부분을 읽고 정리하였습니다. 도입부: 헤겔과 엥겔스, 그리고 대한민국의 '사상의 시장'(상상 대화 시리즈 62)“헤겔 선생, 당신은 왜 그렇게 세계정신이니, 절대정신이니 하는 추상적인 개념만 말하는 겁니까? 현실은 훨씬 더 복잡하고, 물질적이지 않습니까?”“엥겔스, 당신은 모든 것을 경제와 생산력으로만 보려 하니, 인간의 정신적 발전을 너무 소홀히 하는 것 아닙니까?”“아닙니다, 헤겔 선생. 저는 오히려 인간의 발전이란, 서로 다른 생각들이 부딪히고, 그 충돌 속에서 새로운 해결책이 태어나는 과정에 있다고 봅니다. 바로 ‘변증법’이죠. 하지만 그 출발점은 언제나 구체적인 현실, 즉 우리 삶의 현장입니다.” 이렇게 두 철학자는.. 2025. 7. 3.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쟁을 지켜보며 간디를 떠올리다. 도서 '필로소피 랩' X.정치와 경제. P. 294-295. 간디 '비폭력'을 읽고 정리도입부: 비폭력의 세 거장이 만난다면 (상상 대화 시리즈 61)어느 저녁, 인도 델리의 작은 찻집에 세 명의 인물이 모였다. 마하트마 간디, 레프 톨스토이, 그리고 마틴 루서 킹 주니어.따뜻한 차를 앞에 두고, 그들은 ‘비폭력’에 대해 진지하게 대화를 나눈다. “톨스토이 선생, 당신은 인간의 본성이 사랑임을 강조하셨죠. 저는 그 사랑이 사회 변혁의 가장 강력한 무기라 믿습니다.”간디가 말문을 연다. “간디 선생, 당신의 ‘사티아그라하’는 제 소설 속 이상을 현실로 만든 셈이지요. 하지만 현실의 억압 앞에서 비폭력이 항상 통할까요?”톨스토이가 묻는다. 마틴 루서 킹이 미소 지으며 대답한다.“저는 미국에서 비폭력 저항으로.. 2025. 7. 2.
소크라테스적 무지 도서 '필로소피 랩' p.254-255. 소크라테스 '모든것을 질문하기' 부분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도입부: 소크라테스와의 가상 인터뷰 (상상 대화 시리즈60)오늘은 정말 특별한 손님을 모셨습니다. 바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입니다.만약 그가 타임머신을 타고 2025년 대한민국에 온다면, 저는 그에게 가장 먼저 이렇게 묻고 싶었습니다. Q: 소크라테스님, 당신이 말한 '소크라테스적 무지'란 무엇인가요? 소크라테스(가상):"나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을 안다네. 이것이 바로 내가 다른 이들보다 조금 더 지혜로운 이유일지도 모르지. 진정한 지혜는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네." Q: 왜 우리는 자신의 무지를 인정해야 할까요? 소크라테스(가상):"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인정하는 용기.. 2025. 7. 1.
판단 보류 도서 '필로소피 랩' p.248-249 피론 '판단보류' 를 읽고 정리하였습니다. 도입부: 피론과 플라톤, 지금 이곳에서 만나다 (상상 대화 시리즈59)어느 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피론과 플라톤이 대한민국의 한 토론 프로그램 녹화장에서 마주쳤다고 상상해봅니다. 사회자가 묻습니다.“진보와 보수, 어느 쪽이 옳습니까? 그리고 진실은 무엇입니까?”플라톤이 먼저 입을 엽니다.“진실은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바람이 어떤 이에게는 따뜻하고, 또 다른 이에게는 차갑게 느껴지듯이 말이죠.” 피론이 고개를 끄덕이며 덧붙입니다.“사물의 본질을 우리는 결코 완전히 알 수 없습니다. 명확한 증거가 없다면, 판단을 잠시 미루는 것이 지혜롭지 않겠습니까?” 두 철학자는 서로를 바라보며 미.. 2025. 6. 30.
최고의 전략 도서 '필로소피 랩' VII. 일상 속 철학. P.236-237. 손자 '보드게임에서 이기는 법' 의 내용 中 /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상상 속 대화 시리즈57)도입부: 손자와 제갈공명, 그리고 대한민국의 경쟁사회"공명 형, 당신은 병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오?""손무 형, 병법이란 결국 사람을 이롭게 하고, 불필요한 희생을 막는 데 있지 않겠소?""맞소.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야말로 최고의 전략이지요." 만약 손자와 제갈공명이 오늘날 대한민국의 한 카페에서 이런 대화를 나눈다면, 아마 대한민국의 치열한 경쟁사회에 대해 깊은 고민을 나눴을 것입니다.취업, 승진, 사업, 인간관계까지, 우리 사회는 마치 전쟁터와도 같습니다.하지만 꼭 누군가를 이겨야만, 누군가를 밟고 올라서야만 성공하는 걸까요?.. 2025. 6. 28.